설명절음식
   옛기록들에는 설명절을 《세수》, 《년수》, 《원단》, 《원일》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모두 한해의 첫날이라는 뜻이였다.
   설은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 첫 아침을 맞는 명절이였으므로 사람마다 새로운 기분과 기대를 가지고 명절을 맞이하였다.
   지난날 우리 인민들은 설날이 오면 차례(제사)를 지내고 세배하며 설음식을 맛보면서 민속놀이를 즐겨하였다.
   설날 새벽에 제사를 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그것은 웃사람을 존경하는 풍습의 연장으로서 집안의 《번영》과 자손의 《흥》이 조상을 어떻게 위하는가에 좌우된다고 생각한 조상숭배관념에서 나온것이였다.
   제상에는 몇가지 음식과 함께 반드시 떡국을 올리였는데 이로부터 설날차례를 《떡국차례》라고도 하였다.
   설날음식을 《세찬》이라고 하였고 술을 《세주》라고 하였다.
   이날에는 특색있는 음식인 찰떡, 설기떡, 절편과 같은 떡과 지짐류, 당과류, 수정과, 식혜, 고기구이, 과실, 술 등을 마련하였다.
   떡국은 꿩고기를 넣고 끓이는것이 제격이였으나 꿩고기가 없는 경우에는 닭고기를 넣고 끓이였다.
   예로부터 전해오는 《꿩대신 닭》이라는 말은 설명절의 떡국과 관련되여 나왔던것이다.
   반드시 떡국을 먹어야 설을 쇠는것으로 여기였기때문에 떡국에 《첨세병》(나이를 더 먹는 떡)이라는 별명까지 붙이였다.
   설날에 처음으로 마시는 술을 《세주불온》(설술은 데우지 않는다)이라고 하여 찬술을 한잔씩 마시였다.
   이것은 옛사람들이 정초부터 봄이 든다고 보았기때문에 봄을 맞으며 일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 여겨온데서 생긴 풍습이다.
   도소주는 오랜 옛날부터 전해오는 설술인데 설날아침에 마시였다.
   조피, 흰삽주뿌리, 도라지, 방풍 등 여러가지 고려약재를 넣어 만든 도소주를 마시면 그해 모든 병이 생기지 않는다 하였다.
   도소주는 나이가 젊은 사람부터 마시였는데 그 리유는 젊은 사람은 나이를 먹으므로 축하하는 표시로 먼저 마시게 하였고 늙은 사람은 나이가 먹어 더 늙어지는것이 아쉬워 나중에 마시였다고 한다.
   설날아침식사는 대체로 큰집에 모여서 집안식구들끼리 즐겁게 하고 세배군들이 찾아오면 술상이나 떡상을 대접하군 하였다.

설기떡

   설날에는 설기도 즐겨 만들어먹었다.
   설날에 해먹은 설기가운데서 가장 이름난것은 개성의 소머리떡이였다.
   소머리떡이란 떡을 식혀서 썬 모양이 마치 소대가리편육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말이다.
   소머리떡은 썰었을 때 겉모양이 독특하고 희한할뿐아니라 맛 또한 일품이였다.
   개성지방에서는 이 떡을 자그마한 시루에 쪄 가지고 시루채로 사돈집에 설음식으로 보내는 풍습이 있었다.

음식소개 5